#1 - 디스콰이엇에서의 6개월; 3가지 유형의 실패; Grit; 인터넷을 위한 노이즈 캔슬링 필터; 메이커의 지지 기반


안녕하세요, 메이커 다운입니다.

디스콰이엇에서 6개월간의 시간을 보냈습니다. 정말 밀도있고, 행복했고, 많이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제가 디스콰이엇에 합류하게 된 건 메이커로 생활하면서 느꼈던 저의 불안 (disquiet)이나 어려움들에 대해서 깊이 이해 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디스콰이엇에 합류해 메이커들을 위해 일하는 시간을 보내면서 메이커인 저 스스로의 어려움에 대해서 예전보다 잘 이해하고, 또 해소해낼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디스콰이엇 팀원들과 이야기하면서 저는 사려깊은 제품에 대해서, 고객에 대해서, 비즈니스에 대해서, 참 많이 생각했던 것 같아요.

그리고 그 과정의 끝에서 저는 디스콰이엇 밖에서 다시 메이커가 되기로 했어요.

(( 디스콰이엇 팀 사랑해요 :) ))

3가지 유형의 실패; Amy C. Edmondson

저는 그동안 여러가지 제품들을 만들고 가설을 검증해보았는데요.

image.png
2023-11-18 12.46.24.jpg

2023-11-18 12.46.47.jpg

이전에 했던 일들에 어쩌면 실패라고 부를만한 시도들도 있었던 것 같아요.

실패의 종류는 세 가지가 있다고 하더라구요.

1. 치명적인 실수를 통해서 일어나는 기본적 실패, 2. 자연재해나 질병 등 통제할 수 없는 요인 등을 동반한 복합적 실패, 3. 확고한 목표를 통해서 달려가는 과정에서 일어난 지능형 실패 - 그리고 이 지능형 실패를 이루는 조건들은 4가지가 있다고 해요. 아직 해보지 않은 영역에서 실패했는가? 목표를 쫓고 있었는가? 가설을 기반으로 시도했는가? 실패의 결과가 치명적이지 않고 작은가? [Amy C. Edmondson]

그동안 제가 했던 실패들은 다행히도 이 중에서 세 번째 유형의 실패인 것 같았어요.

그래서 였는지 저에게 부족했던 요인들이 무엇이었는지 이전보다는 잘 이해할 수 있겠더라구요.

Grit; Angela Duckworth

제가 실패했던 요인 중 한 가지는 다른 게 아니라 그냥 계속하는 마음(Grit)이었던 것 같아요.

한 가지 문제를 붙잡고 놓지 않는 거.

저는 사실 주변 사람들의 말이나 조언에 잘 흔들렸어요.

남들이 투자를 받으려고 하면 나도 투자를 받으려고 해야 하는 줄 알았고, 남들이 채용을 하려고 하면 나도 채용을 해야 하는 줄 알았고, 남들이 세일즈를 하려고 하면 나도 세일즈를 해야 하는 줄 알았고… 늘 그런 식이었어요.

그래서 막상 투자를 받을 수 있었던 타이밍에도 기분이 이상했고, 팀원을 찾을 수 있던 타이밍에도 기분이 이상했고, 세일즈를 하면서도 기분이 이상했어요. 그리고 이상한 기분 때문에 명확한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할 때가 많았어요.

제 주변에 운 좋게도 멋지고 좋은 분들이 계셨고 그 분들의 조언이 옳을 때가 꽤 많았거든요.

하지만 제가 그런 조언에 적합한 사람인지 모르고 그런 조언을 따르고 있었다는 걸 나중에야 깨달았어요.

‘플레이북’은 정말 명쾌하고 때로는 논리적이고 자명하죠.

하지만 저는 그 플레이북이 몸에 맞지 않았어요.

세상에는 수 많은 성공하는 방법들, 문제를 푸는 방법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제가 알아야 하는 방법은 ‘가장 크게 성공하는 방법’이 아니라 ‘나랑 비슷한 사람이 문제를 푸는 방법’ 이더라구요.

조금 더 복잡하게 설명을 해보자면, 저는 ‘확률’이라는 표현을 되게 좋아하는데, 확률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두 가지가 있다고 하더라구요. 빈도주의적 확률과 조건부(베이즈) 확률.

빈도주의적 확률 관점을 가진 사람들은 성공할 비즈니스를 찾기 위해서 1,000가지 성공사례와 실패 사례를 분석해요.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잘된 사례들의 공통점을 찾고, 그 공통점대로 실행에 옮기는 거죠. 저는 이게 ‘플레이북’인 것 같아요.

한편 조건부 확률 관점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과 ‘우리 팀’ (조건)에 대해서 완벽히 이해할 때까지 분석을 계속해요. 그리고 나의 조건에서 가장 성공할 확률이 높은 가설을 실행에 옮겨요. 저는 이게 ‘롤모델’인 것 같아요.

저는 이 두 가지 방법중에서 후자가 몸에 맞는 것 같아요.

이렇게 생각했을 때 - 롤모델이 아닌 성공의 유형은 달콤해보이지만 더 깊게 생각해보면 오히려 저의 생각에 혼란을 주는 노이즈에 가깝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먼 길을 돌고 돌아 제가 처음에 풀고 싶어했던 문제를 계속해서 풀어나가고자 합니다.

예전에 만들었던 프로덕트 이름이 ‘비움’이었는데요, 이 때랑 똑같은 문제들을 계속 풀어보려고 해요.

사람들의 삶이나 일이 노이즈와 혼란으로 가득차지 않고 더 풍요로워졌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저는 인터넷을 위한 노이즈 캔슬링 필터를 만들고자 해요.

이 문제,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솔루션을 찾기 위해서 수 십개의 인터넷 스레드와 수 천개의 댓글을 읽었어요. 그래서 저는 이 문제가 정말로 만연하고 오래되었다는 사실을 알게됐어요.

인터넷을 위한 노이즈 캔슬링 필터

정보 과부하는 2,300년 된 문제입니다. ["]

최근 AI의 발전 덕분에 이제 우리는 이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갖게 되었습니다.

Empty Canvas에서는 디지털 상호 작용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전념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집중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을 조성하는 개인 맞춤형 노이즈 캔슬링 필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인터넷이 사용자가 통제할 수 있을 때에만 유용하다고 믿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사용자의 자율성과 통제권을 존중하는 도구, 그리고 AI 시스템을 만드는 것입니다.

지금 Empty Canvas의 본사는 미국에 있어요. 앞으로는 자주 외부 채널에서 영어로 이야기할 것 같아요.

Empty Canvas가 만들 제품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이 있다면 2편을 기다려주세요!

성공하면 어떡할 것 같고, 실패하면 어떡할 것 같으세요?

디스콰이엇에서의 마지막 날 @하영진 님이 저에게 해주신 질문이에요.

성공하면 행복하게 계속 만들 것 같고, 실패하면 조금 불행하게 계속 만들 것 같아요.

근데 실패하지 않는 게 좋겠죠.

실패하지 않기 위한 장치들이 어떤 것이 있을까 열심히 찾아봤는데요, 그 중 한 가지 제가 가지고 있지 못한 게 있더라구요.

저의 경우 그 장치 중 가장 모자랐던 것은 아이디어도, 전략도 아니고, 투자금도 아니고, 기술도 아니라 계속할 수 있도록, 마음 든든히 먹도록 도와주는 ‘지지 기반’이더라구요.

c37ead4e-6272-4d3b-bd1b-0778dcc82543.jpeg

사실 이 ‘지지 기반’ 만드는 걸 너무나도 쉽게 해내는 사람들도 있는데, 저한테는 다른 것보다 이게 필요하고, 이걸 만드는 게 어렵다는 걸 인정하는 데에 시간도 엄청 오래걸리더라구요.

근데 이제 용기를 낼 거에요.

함께 오랫동안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지저분함과 귀찮음과 어려움에 대해서 이야기 할 끈끈한 메이커 친구들, 그리고 소중한 관계를 많은 수가 아니더라도 좋으니까 만들어나가려고 해요. (저랑 친구 하실분?)

메이커의 지지 기반 클럽

Maker’s Support System | Disquiet*
메이커에 의한 메이커를 위한 메이커의 지지 기반이 되어주는 클럽이에요 : )

오랫동안, 좋은 제품을 만들고 즐겁고 힘든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눌 메이커들을 찾고 있어요.

클럽 참여 조건은 문제를 풀고자 하는 마음이 있는 메이커에요.

Today I made 챌린지 - Maker’s Support System
챌린지에 참여하게 되면 오픈 카톡방 링크를 보내드려요. 주중, 주말 상관없어요. 챌린지 기간동안 되도록 매일 오늘 내가 무엇을 만들었는지 한 줄이라도 공유하고, 동료 메이커들에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요 :) 돈을 받는 이유는 행동 경제학적인 이유에요. 인간은 돈을 지불하면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서 본전을 뽑으려고 한다네요! 그럼 챌린지에서 뵈어요 :)

그리고 오늘 만든 것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고, 동료 메이커들에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빌딩 인 프라이빗’ 공간 Today I Made 챌린지를 준비했어요. 1회차인 지금은 최대 5명 인원을 모집하려고 해요.

이번에는 중간에 쉽게 멈추지 않고 계속해볼게요.

#2편에서는 써볼 수 있는 제품을 가지고 올게요.

그럼 잘부탁드립니다 :)

Subscribe to Optimization Process

Sign up now to get access to the library of members-only issues.
Jamie Larson
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