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ization Process

나은 미래를 만드는 과정

AI에 대한 글쓰기를 계속하는 이유

AI에 대한 글쓰기를 계속하는 이유

AI에 대한 논의는 경우에 따라서는 두렵고, 불안하게 하고, 공포스럽기도 하다. 어떤 사람은 논의의 과정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지만, 어떤 사람은 낭떠러지를 발견하기도 한다. 2016년말부터 잊을만 하면 AI에 대해서 글을 쓰고 있다. 그 때 딥마인드의 알파고가 이세돌 바둑 9단을 이기면서 첫 번째 AI 붐이 시작됐다. 2023년이 된 현재도 내가 쓰는 글의 주제는
6 min read
AI가 불러올 권위의 종말

AI가 불러올 권위의 종말

인공지능(AI)의 부상은 우리가 생활하고, 일하고, 서로 교류하는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머신러닝과 기타 AI 기술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면서 우리가 새로운 기술 발전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르기 마련이며, AI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와 함께 인간이 그동안
4 min read
견디기 위한 적응 - 2022년의 끝으로부터.

견디기 위한 적응 - 2022년의 끝으로부터.

이 글은 Sequoia Capital의 프레젠테이션 Adapting to Endure를 읽고 요약한 글입니다. 거시경제 환경: 자본이 비싼 세상 각국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공백을 메우기 위해 대규모 통화 부양책을 사용했고, 이는 심각한 경기 침체를 막았지만 자산 가격 상승과 공급망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2022년 초부터 가속화되었으며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높습니다. 연준의 임무는 고용을
10 min read

Have a wonderful day

영어로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눌 일이 있을 때 - 작별인사로 Have a wonderful day라고 말하는 습관을 들였고, 오늘도 그 말을 꺼내던 참이었다. 그런데 문득, 내가 누군가에게 건넨 그 말이 되게 좋은 말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기분이 정말로 좋아졌다. 일에 매몰되어 살다보면 무의식적으로 인간관계가 기브 앤 테이크 뿐이라는 생각을 하기 쉬운 것 같았다.
1 min read
피드백 하는 방법 (The hard thing about hard thing, Ben Horowitz)

피드백 하는 방법 (The hard thing about hard thing, Ben Horowitz)

Ben Horowitz의 저서 하드씽 (The hard thing about hard thing)에서 등장한 피드백에 대한 단락을 정리한 글입니다. 진정성을 보여주세요. 자신이 제공하는 피드백을 믿고 받는 사람의 기분을 조종하기 위해 어떤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속일 수는 없습니다. 올바른 동기를 가지세요. 피드백은 실패를 바라기 위해서가 아니라 성공하기를 바라기 때문에 주는
3 min read
출구없는 놀이공원

출구없는 놀이공원

이건 회원 탈퇴와 구독 해지, 그리고 넛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서비스 공급자들에게는 ‘회원 탈퇴’와 ‘구독 해지’를 쉽게 만들 이유가 없다. 그래봤자 지표가 떨어질 뿐이니까 말이다. 그래서 회원탈퇴와 구독해지를 즉시 처리하는 기능을 만들지 않거나 이메일로 처리하는 등 기능적으로 어렵게 만드는 것은 공급자의 입장에서 꽤나 자연스러운 선택지다. 놀이공원과 백화점은 정말로 복잡하고
19 min read
가속도를 만들라

가속도를 만들라

Linear Method | Jan 29, 2021 | Generate momentum 원문 여러분과 팀원 전체는 항상 빠르게 움직이고 매일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 노력해야 합니다. 어떤 일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거나 말하는 대신, 그 일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합니다. 그런 다음 내일 대신 오늘, 다음 주 대신 이번 주에 실행합니다.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모르거나 제품에서
1 min read
겸손함과 자신감은 교환관계가 아니라 보완관계이다.

겸손함과 자신감은 교환관계가 아니라 보완관계이다.

커리어를 통틀어 겸손함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해왔고 자신감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해왔던 것 같다. 자주 혼란을 겪었다. 겸손하면 자신감이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기도 했고, 자신감이 있으면 겸손함이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실은 그런 게 아니었다. 자신감과 겸손은 사람들이 개인 생활과 직장 생활에서 종종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는 두 가지 중요한 특성이다. 이것들은 서로
3 min read
가짜 유대감

가짜 유대감

최근들어 누군가를 만날 일이 생길 때마다 계속 마음 한 켠에 들여놓는 생각이 있다. ‘마음에 없는 말은 하지 말아야지.’ 자꾸만 유혹을 받는다. 거짓말을 하면 내 삶이 조금 편해질 거란 생각이 드니까 거짓말을 하게 된다. 여느 날 누군가에게 나는 도움 필요하면 말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리고 막상 그가 나에게 도움을 찾자 내가 그를 도울
4 min read
리터러시와 기술

리터러시와 기술

최근들어 리터러시라는 단어를 많이 들었다. Computer Literacy, IT Literacy, Digital Literacy, Data Literacy, Code Literacy 이런 식으로. 리터러시는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이다. 그리고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은 관점에 따라 무한히 변환이 용이한 능력이다. 글이 아니라 코드를, 코드가 아니라 음표를, 음표가 아니라 그림을, 그림이 아니라 … 이런 식으로.
16 min read
영향력의 탈중앙화

영향력의 탈중앙화

체계적으로, 그리고 목적성을 가지고 소셜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시작한 지 6개월이 되었다. 소셜네트워크는 나의 삶에 이런저런 기회와 만남을 가져다주었다. 서너가지 SNS에 각기 다른 소재, 톤 앤 매너를 상상하면서 컨텐츠를 만들고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곤했다. 그리고 최근에는 시간이 날 때면 이런 생각을 한다. * 유튜브도 시작해야 하는 건 아닐까? (사실 이미 그렇게 생각해서 영상을
7 min read
나이를 잊다.

나이를 잊다.

처음으로 스타트업에 취직하고자 했을 때 내가 느낀 세상에는 온통 나이를 이야기 하는 사람 뿐이었다. 나는 때때로 나이로 칭찬받았다. 그리고 그 사실에 기분이 좋아지곤 했던 내가 싫었다. 아래 내용은 그 싫음에 대한 글이었다. 일과 나이 2020 Jun 21 나는 지난 3년동안 나이에 비해서 무언가를 잘했다거나, 대단하다는 칭찬을 많이 받았다. 처음에는 정말
4 min read
모든 것의 네트워크와 모든 것의 전이학습 - 기계학습 연구가 발견한 인간 학습의 방법론 7가지

모든 것의 네트워크와 모든 것의 전이학습 - 기계학습 연구가 발견한 인간 학습의 방법론 7가지

기계학습을 공부하면서 가장 좋았던 건 ‘학습’이라는 개념이 머릿속에서 재정립되는 과정이었다. 기계학습의 분야에서는 인간이 무언가를 학습하는 방식, 알고리즘이 데이터의 패턴을 발견하는 과정을 끊임없이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보고 이를 수식화, 모형화한다. 전이학습 (Transfer Learning)은 기계학습의 분야에서 가장 좋아하는 개념인데, 이는 인간이 한자를 배우면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와 같은 한자 문화권의 언어를 한자를
10 min read
모든 인간관계가 수평이라는 믿음

모든 인간관계가 수평이라는 믿음

오래간 이런저런 사슬에 묶여 자유롭지 못하다고 생각했던 나를 비로소 자유로운 인간으로 만들어준 믿음이 하나 있다. 그건 바로 모든 인간관계가 수평이라는 믿음이다. 이 믿음에는 일체의 예외가 없어야 좋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 부모와 자식의 관계가 수평적이기를 바란다. * 선생과 학생의 관계가 수평적이기를 바란다. * 사장과 직원의 관계가 수평적이기를 바란다. * 투자자와 창업자의 관계가 수평적이기를
4 min read
명시적이지 않은 것들은 지켜지지 않는다.

명시적이지 않은 것들은 지켜지지 않는다.

자기개발, 습관에 대한 책들을 여러 권 읽었다.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Atomic Habits) * 넛지 (Nudge) * 몰입의 즐거움 (Finding Flow) * 그릿 (Grit) 이 책들은 다들 어딘가 비슷하고, 어딘가 연결되어 있었는데 그 중 내가 중요하다고 여긴건 '의도적 학습'에 대해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의도적 학습이라는 건 자기가 뭘 하고 있는 지 알고
2 min read